소개 현상금, 커리업, 다양한 소셜 미디어와 Tech Stack

안녕하세요! 로켓펀치가 세상에 나온 지 벌써 2년이 조금 더 흘렀네요.

스타트업들의 정보를 찾기 어려운 문제, 그로 인해 발생하는 구인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조용히 시작했던 프로젝트가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수만 명이 방문하고, 수천 건의 이력서가 오고 가는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작은 팀으로서 서비스를 유지해 나가는데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로켓펀치를 통해 좋은 투자자나 사업 파트너 그리고 인재를 만났다는 이야기, 로켓펀치를 통해서 좋은 팀에 합류 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마다 글로는 다 표현 못 할 큰 보람을 느끼면서, 여기까지 올 수 있도록 도움 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게 됩니다.

지금 로켓펀치 팀은 차분하게 새 버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처음 만들 때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기능들과 2년 동안 받았던 많은 의견들을 반영하여, 더 많은 기회들이 서로 만날 수 있는 곳을 만들고자 합니다.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버전을 선보이기에 앞서,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새 기능들을 준비 했습니다.

1. 새로운 채용 옵션 A 소개 현상금

큰 기업에서는 내부 직원이 추천한 인재가 입사하면, 그 직원에게 추천 상금을 주는 제도를 운영합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도 이런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 로켓펀치 구인 공고에 ‘소개 현상금’이라는 기능을 도입 했습니다. 우리 팀이 찾는 인재를 누군가가 소개해 주면, 그 사람에게 보상금을 줄 수 있는 기능으로, 우선 ‘그래택 재팬’, ‘데일리호텔’, ‘마이리얼트립’ 세 회사가 이 옵션을 도입 했습니다. (소개 현상금 총 1,250만원)

– 그래텍 재팬 : https://www.rocketpunch.com/recruit/company/gretech-japan/ (웹, 게임 플랫폼 개발) [일본 도쿄 근무]
– 데일리호텔 : https://www.rocketpunch.com/recruit/2204/ (Full Stack 개발)
– 마이리얼트립 : https://www.rocketpunch.com/company/myrealtrip/ (프론트엔드 개발, 디자인, 운영)
– 데얼 : https://www.rocketpunch.com/recruit/2915/ (웹 프론트엔드 & 백엔드, 모바일 iOS & 안드로이드 개발)
– 토스랩 : https://www.rocketpunch.com/recruit/2741/ (웹 프론트엔드 & 백엔드, 모바일 iOS & 안드로이드 개발, 데이터 분석가)

채용이 확정되면 소개 해준 분께 현금으로 현상금을 지급하며, 소개인 없이 지원 했을 경우 현상금은 사이닝 보너스 형태로 입사자에게 지급 됩니다. 내가 구직 중이 아니더라도 주변 인재와 스타트업을 연결하고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이 회사들을 소개해 보는 건 어떨까요?

▶︎우리 회사 채용 공고에 현상금 옵션을 활성화 하고 싶은 스타트업이 있다면 startup@pristones.com 으로 문의해 주세요!

2. 새로운 채용 옵션 B – 커리업

구직자와 기업이 자유롭게 이야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채용 설명회’는 유익한 행사이지만, 오프라인 행사를 준비하는 것은 작은 스타트업에게는 큰 부담입니다. 그래서 로켓펀치는 구직자와 스타트업이 자유롭게 이야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온라인 채용 설명회스마일패밀리와 함께 ‘커리업’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지난 2월 제 1회 행사가 열렸고 3/23에 제 2회 행사가 개최 됩니다. 구직 중이 아니시더라도 주변에 많은 홍보 부탁 드립니다. 🙂

– 사전 참여 신청 : https://www.facebook.com/events/1549140582001544

▶︎‘커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startup@pristones.com 로 신청해 주세요!

3. 새로운 기업 정보 항목 – 다양한 소셜 미디어 & Tech Stack

스타트업들은 예전보다 더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고객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있던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외에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카카오톡 옐로아이디, 카카오스토리를 기업과 서비스 정보에 모두 추가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 모든 소셜 미디어가 추가된 기업 페이지 예시 : https://www.rocketpunch.com/company/there/

▶︎새로운 소셜 미디어는 지금 즉시 회사 페이지에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직자 입장에서 가장 궁금함 점 중 하나인 ‘이 회사는 어떻게 일할까?’에 대한 정보를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각 기업들의 Tech Stack을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제 1회 커리업 참여 기업들의 Tech Stack : https://www.rocketpunch.com/blog/2015/02/06/Tech-Stack-CareerUp/

▶︎현재 Tech Stack 기능은 클로즈 베타 단계로서 커리업 참여 기업들을 위주로 진행 되고 있습니다만, 먼저 사용해 보고 싶은 회사가 있다면 역시 startup@pristones.com 으로 언제든 신청 부탁 드립니다.

로켓펀치에 대한 개선 의견은 https://rocketpunch.uservoice.com/ 통해서 24시간, 365일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귀 기울여 듣고 사용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로켓펀치 되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봄비 내리는 3월 , 로켓펀치 팀을 대표하여, 조민희 드림.

세계를 누비는 곰발바닥, 그래택 재팬을 만나다

‘주황색 곰 발바닥’ 하면 떠오르는 무언가가 있으신가요? 네 맞습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은 누구나 한번쯤 써 본적 있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국민 동영상 재생 소프트웨어 ‘곰플레이어’의 로고입니다. 그런데 한국보다 전세계에서 더 유명한 메신저 ‘라인’처럼, 한국보다 해외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곰플레이어’를 애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곰플레이어’를 비롯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일본과 전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그래텍 재팬’을 만나 보겠습니다.


[익숙한 곰발바닦 로고가 붙어 있는 그래텍 재팬 사무실 입구]

로켓펀치 : 우선 ‘그래텍 재팬’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그래텍 재팬 : 그래텍 재팬은 2004년에 설립된 회사로 자본금 3억엔, 사원수 25명 규모의 재무구조가 탄탄한 강소기업입니다. 본사인 그래텍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곰TV, 곰플레이어, GOM eXP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텍 재팬은 그래텍의 일본 법인으로, 한국 외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가는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트업’에 가까운 회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택 재팬 사무실은 일본 도쿄 신주쿠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텍 재팬 사무실에서 본 신주쿠 풍경]

로켓펀치 : ‘그래텍 재팬’에서는 곰플레이어 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업 분야에 대한 소개 부탁 드립니다. 특히 요즘에 집중하고 계시거나, 재미있다고 생각되는 분야가 있다면 자세히 알려주셔도 좋습니다.
그래텍 재팬 : 크게 소프트웨어 분야와 게임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사업부문은 잘 아시는 곰플레이어를 필두로 한 글로벌 곰계열 소프트웨어 비롯해서, 반디캠으로 유명한 반디소프트의 일본어 제품, 그 외 픽픽을 배포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아마 한국에 뿌리를 둔 회사들 중에서 B2C 소프트웨어를 전세계 대상으로 가장 잘 서비스 하고 있는 회사일 것입니다. 게임사업부문은 3월부터 신규 온라인 게임을 퍼블리싱 할 예정인데, 이를 위해 개발팀을 새로 충원하고 있습니다.


[그래텍 재팬에서 전세계로 서비스 중인 소프트웨어 서비스들]


[곧 공식 런칭 예정인 http://www.crystalcrest.jp/]

로켓펀치 : 한국에 본사를 둔 일본 기업인데다가,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하시다 보니 다양한 국가 출신 사람들이 함께 일할 것 같은데 이런 한국 출신 / 일본 출신 / 그 외 국가 출신 직원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래텍 재팬 : 현재 곰제품군 (PC/Mobile)의 글로벌 버전을 일본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역시 다국적의 사람들이 모일 수 밖에 없는데 파트타임 근무를 포함하면, 한국 국적 9분 / 일본 국적 8분, 중국 국적 2분, 대만 국적 1분, 베네수엘라 국적1분, 타이 국적 1분, 칠레 국적1분이 일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일하는 그래텍 재팬 사무실 풍경]

로켓펀치 : 한국에 뿌리를 둔 일본 기업인데, 베네수엘라랑 칠레 출신 직원까지 함께 일하는 팀이라… 그럼 사내에서 커뮤니케이션과 프로젝트 진행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지네요. 제품 개발 프로세스와 회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래텍 재팬 : 다른 회사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사내용 협업 툴을 도입해서 커뮤니케이션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품개발은 한국 본사에서 주로 진행하므로, 새로운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거나 본사의 신제품기획단계에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공 있습니다. 본사에서 정기적으로 방문할 때도 있고, 스카이프를 통해서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메일이나, 레드마인같은 툴도 많이 사용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부분은 본사가 한국이다 보니 주로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진행합니다.
– 그래텍 재팬의 업무 환경, Tech Stack 살펴보기 : /company/gretech-japan/#techstack

로켓펀치 : 회사 내 직군 인력 구성이 궁금합니다. 개발자가 몇 분인지, 기획이나 영업을 담당하는 분이 몇 분인지 등의 인력 구성을 부탁 드립니다.
그래텍 재팬 : 개발보다는 기획, 영업, 운영 인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현재 일본 내에는 소프트웨어부문은 개발 2명, 게임사업부문은 본사에서 개발을 도와주고 있는데, 새 게임을 퍼블리싱 하게 되면 아무래도 인력이 더 필요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번에 신규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고요.

로켓펀치 : ‘그래텍 재팬’만의 독특한 회사 문화가 있다면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으로 가지는 장점이 있다면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그래텍 재팬 :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초기단계부터 글로벌화를 염두하고 제품 개발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텍 재팬은 이런 ‘글로벌 비즈니스 마인드’를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곰플레이어를 일본 시장에 런칭하고 이후 전세계를 대상으로 운영하게 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죠. 이런 과정에서 글로벌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노하우를 습득했고,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일하는 법이 자연스럽게 회사 문화에 녹아 들었습니다. 앞으로 전세계 대상으로 꿈을 펼치고 싶다면, 그래텍 재팬은 그 꿈을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직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회의 시간? 쉬는 시간? 즐겁게 일해야 성과도 좋다고 생각하는 그래텍 재팬 사람들]

로켓펀치 : ‘그래텍 재팬’에서 일하게 되는 경우, 일본으로 이주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이를 위해 회사 내의 별도의 지원책이 있으신가요?
그래텍 재팬 : 한국에서 오시게 되면 일정기간에 대한 거주비용이나, 비자취득에 필요한 수속 등을 지원해 드립니다.

로켓펀치 : 국내 스타트업이나 IT 기업과의 그래택 재팬의 협업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실제도 협업 사례가 있는지, 혹은 어떤 기업과 협업을 희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래텍 재팬 : 특정분야나 서비스에 한정하지 않고, 글로벌 진출을 도모하는 스타트업이 있다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조언, 현지화, 운영 방법 등에 대해 여러 가지로 협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로켓펀치 : 일본에서 일하기를 희망하는 한국 내 인재들과, 일본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에게 해줄 조언이 있다면 짧게라도 부탁 드립니다.
그래텍 재팬 : 일본뿐 아니라 해외 진출 시에는 단순히 언어의 번역이 아니라, 해당국가의 문화에 대해서 이해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과서적이지만 이 부분이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문화적 차이로 인해 준비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일본에서 맞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핫한 배달 앱 같은 경우, 일본의 경우 배달문화도 한국만큼 보편적이지 않으므로, 비슷한 전략으로는 성공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배달음식 종류나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겠죠.

그래택 재팬에서는 게임 퍼블리싱 사업 확장 등을 위해 2명의 개발자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그래택 재팬 채용 공고 보러가기]
–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엔지니어 : https://www.rocketpunch.com/recruit/2815
– 게임 개발 부문 엔지니어 : https://www.rocketpunch.com/recruit/2816

그래택 재팬에서는 내가 소개해준 사람이 최종적으로 회사에 채용되면 소개해준 분께 소정의 소개료를 드리는 ‘소개 현상금’ 100만원을 각각 내걸었습니다. 주변에 글로벌 소프트웨어 인재로 도약하기를 희망하는 개발자 분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입사해듀오 – 제 1회 커리업! 참여 기업의 Tech Stack 공개

결혼한 사람들에게 결혼 생활이 어떤지 물어보면 대다수가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연애와 결혼은 완전히 다른 세상이야! (연애 ≠ 결혼)”

한 사람이 회사에 새로운 구성원이 되는 것도 이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잘 맞을 것 같았던 사람이었고, 좋아 보였던 회사였지만, 막상 들어가서 함께 일 해보니 구인/면접 과정에서는 몰랐던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하고, 때로는 관계가 삐걱거리기도 합니다.

연애를 아무리 오래 했어도 결혼하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펼쳐지는 것처럼, 채용 전과 후에 발생하는 기업과 구직자 간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학벌/연봉/외모 같은 피상적인 기준만 맞춘 결혼보다 서로의 진짜 모습에 대해서 좀 더 알고 한 결혼이, 당연히, 좀 더 안정감이 있을 것처럼, 알려지지 않았던 정보를 채용 과정에서 공유함으로써 더 나은 채용 문화를 만들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 첫 번째 발걸음으로 채용 프로세스에 각 회사가 실제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정보인 Tech Stack을 녹여보려고 합니다. 우선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온라인 스타트업 채용 설명회 ‘커리업’ 참여하는 6개 사에서 Tech Stack (기술 스택) 을 공개 했습니다.

개발 언어에서부터 구성원 간의 협업 도구까지 망라된 이 Tech Stack을 통해, 실제 회사들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좀 더 깊게 알 수 있고, 면접 과정에서도 회사와 구직자가 좀 더 심도 있는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제 1회 커리업! 참여 스타트업의 Tech Stack
1. 채팅캣 (ChattingCat)- 실시간 원어민 영작 교정 서비스 ‘채팅캣’


– 채팅캣 Tech Stack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chattingcatco#stacks
– 채팅캣 채용 분야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chattingcatco/jobs

  • 웹/앱 개발자
  • 마케터

2. 데일리 (Daily) – 당일 호텔 예약 서비스 ‘데일리 호텔’

– 데일리 Tech Stack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dailyhotel#stacks
– 데일리 채용 분야 :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dailyhotel/jobs

  • 안드로이드, 서버 개발자
  • 브랜드, UI/UX 디자이너
  • 서비스 기획
  • 영업/마케팅
  • 재무/회계

3. 펠루 (PELLUE) – 시간절약형 음성콘텐츠 서비스 ‘데일리(day.ly)’

– 펠루 Tech Stack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pellue#stacks
– 펠루 채용 분야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pellue/jobs

  • 안드로이드, iOS 개발자
  • 디자이너

4. 퀄슨 (Qualson) – 모바일에서 틈틈이 하는 영어공부 ‘앱티쳐’, ‘Shou!d’ & ‘Talk2Me’

– Tech Stack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qualson#stacks
– 채용 분야 :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qualson/jobs

  • 안드로이드 개발자
  • 웹 개발자

5. 스포카(Spoqa) – 쉽고 스마트한 포인트 서비스 ‘도도포인트’

– 스포카 Tech Stack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spoqa#stacks
– 스포카 채용 분야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spoqa/jobs

  • UI/UX 디자이너

6. 비바리퍼블리카 (Viva Republica) – 간편한 송금 서비스 ‘Toss’

– 비바리퍼블리카 Tech Stack :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vivarepublica#stacks
– 비바리퍼블리카 채용 분야 :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vivarepublica/jobs

  • 안드로이드 개발자
  • 마케터 (그로스해커)
  • 사업 기획자

+ 함께 보면 좋은 글

제 1회 ‘커리업!’은 2/9(월) 오후 8시부터 진행 됩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사전 참가 신청> /careerup/

던파를 세 배 빠르게 만든 남자, 하재승 0

이번에는 어떤 개발자를 섭외하지 고민하던 저에게 누군가 ‘재승 형이 천재이긴 한데…. ‘라고 하셨습니다. ‘어떤 천잰데요?’라고 물으니 옆에서 ‘남들이 한 달 할 일을 하루 만에 하는?’이라든가 ‘그냥 존나 천재지.’라는 말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저는 어떻게든 하재승님을 꼬드겨서 인터뷰를 진행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주변의 인맥을 통해 연락을 시도했습니다.

근데 천재라고 해서 긴장한 거 치곤 ‘저 같은 사람에게 들을 이야기가 뭐 있을까요?’라며 아주 겸손한 자세로 인터뷰에 응하시더라고요. 인터뷰하며 자꾸 저보고 미녀라고 하셔서 다른 때보다 특별히 신경 써서 인터뷰 원고 썼음을 고백합니다.

와일드한 인상과는 달리 매우 소녀 같은 성격의 소유자이시더군요. 하지만 제가 ‘그렇게 천재시라면서요?’라고 묻자 수줍게 ‘네…. ‘라고 대답하시기도…. 그럼 네오플 개발자 하재승님을 만나보겠습니다.

이름 혹은 닉네임: 하재승, ipknHama 입큰 또는 하마
위치: 낙성대동과 역삼동
소속: 현재 NEOPLE 던파 프로젝트에서 기존 코드 뒤엎기를 담당하고 있다.
내 기기: iPhone 5 / 하스스톤 머신이 되버린 iPad Air / MacBook Air 2011년형

신림동 캐리: 안녕하세요.
하재승: 안녕하세요.
신림동 캐리: 초면에 이런 말을 하기 좀 그렇지만….
하재승: 네?
신림동 캐리: 주변으로부터 ‘존나 천재’라고 소개받았다. 아무튼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한다.


하재승: 응? 존나 천재라고 하기엔 솔직히 나보다 잘난 사람이 너무 많지만… 나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트위터에 쓴 ‘native C++ speaker live in Python land’로 설명이 될 듯하다. 진성 C++ 덕후이고 간단한 코딩은 주로 Python으로 해결한다. 여기서 native란 건 한국어보다 C++이 쉽다는 뜻이다.
신림동 캐리: 존나 천재네….
하재승: 아무튼 이미르, 넥슨, NC를 거쳐 지금은 네오플에서 던파의 묵은 코드와 싸우고 있다. 네오플에 들어오기 전에는 잠깐 이두희님과 함께 ‘멋쟁이 사자처럼’에서 게임 쪽 교육도 진행했었다. 세계 대학생 프로그래밍 대회 결승에 2004년, 2009년에 나갔었다.

신림동 캐리: 2000년대 이후 서울대 컴공과에서 최고 천재라는 말을 들었다.
하재승: 대체 어디서?
신림동 캐리: 낙성대 술집 사운드마인드에서 술 마시다가 옆 테이블과 합류했는데 그런 말을 들었다.

제가 왜 술집에서 옆 테이블과 합류해 개발 이야기나 하고 있었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신림동 캐리: 아무튼 개발자 사이에서 존나 천재로 불린다는 사실을 본인은 아시는지?
하재승: 물론 제가 머리도 좋고 학점도 좋고 코딩도 잘하지만 그런 말은 처음 듣는다. 대학 입학하고 몇 년간은 성적이 잘 나와도 내가 개발을 일찍 시작한 편이라 현재로서는 남보다 코딩을 조금 할 줄 알 뿐이라고 여겼고 대회에서 상을 받아도 그저 운이라 생각했었다.
신림동 캐리: 천재인데 겸손하기까지….
하재승: 어떻게 보면 겸손함이라고도 여길 수 있겠지만 나 스스로는 자신감도 없고 마음 한편이 늘 주눅 든 상태였던 것 같다. 그러다 어느 날 내가 존경하던 친구로부터 ‘일정 수준 이상 잘하게 되면 그 다음은 결국 어느 방향으로 더 노력했느냐가 차이가 날 뿐 모두 잘하는 사람인 것’이라는 요지의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게 나에게는 엄청난 깨달음을 줬다. 그런 점에서 누가 나를 천재라고 불러준다면 물론 그 말씀은 굉장히 감사하지만 결국 무의미한 인정이라고 본다. 공부도 하면 할수록 더 할 게 많은 것처럼 개발도 자신의 수준이 올라갈수록 나보다 더 잘하고 뛰어난 사람이 계속 보인다.
신림동 캐리: 왠지 인터뷰 초반부터 숙연해진다.
하재승: 아, 그렇다고 내가 천재가 아니란 건 아니다.


신림동 캐리: 어릴 때 어떤 계기로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하재승: Westwood에서 만든 ‘Dune 2’라는 게임이 있다. 1992년에 나온 게임인데 커맨드&컨커, 워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등에까지 영향을 준 명작이다. 어릴 때 누군가 이 게임을 알려줘서 플레이해봤는데 실시간으로 여러 유닛이 움직이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에 정말로 큰 문화 충격을 받았다. 나중에 알았지만 RTS류 게임의 시초에 가까운 거더라. 아무튼 그런 식으로 내가 만든 룰에 따라 움직이는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그 안에서 각각의 개체가 살아 숨 쉬게 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서 프로그래밍에 빠져들었다.

신림동 캐리: 얼마 전에 송창규님과 하재승님이 소속되신 개발 모임에 초대받아 갔었지.
하재승: 우리는 ‘하비코딩’이라고 부른다.
신림동 캐리: 하비…라면 보통 여초카페에서는 ‘하체 비만’의 줄임말인데….
하재승: 하비…는 취미의 ‘Hobby’고… 하비코딩 모임 자체는 송창규님이 모은 것이다. 송창규님의 하비코딩 설립 목적을 간단하게 말하자면 ‘사람들끼리 모여서 재미있는 주제로 가볍게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같이 있으면 서로 동기 부여가 되니 딴짓을 덜 하고 실제 완성까지 이루어지지 않겠냐!’인데 실제로 그렇게 돌아가고 있다.
신림동 캐리: 취미로 개발이라면 솔플이 더 편하지 않나?
하재승: 물론 개발 자체는 각자가 자기 만들고 싶은 걸 만들지만, 생각보다 모여서 같이 코딩한다는 게 도움되는 점이 많다. 이런 거 만들면 재밌겠다 싶어서 뭔가를 시작해도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80% 정도 만들면 왠지 의욕이 떨어져 완성을 눈앞에 두고 그만두는 일이 종종 있다. 그래서 이렇게 여럿이 모이면 자극도 되고 좋다.
신림동 캐리: 하비코딩의 고정 멤버, 가끔 오는 멤버 소개 좀 간단히 부탁한다.
하재승: 멤버는 10명 정도지만 평소 5명 내외로 모이게 되는데 여기 로켓펀치 블로그에서 소개된 분이라면 송창규, 최치선, 구종만이 있다. 나머지는 허락받지 않았으니 일단 비밀로♡


개발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는 로켓펀치 블로그입니다.

그나저나 이게 하재승님과 최치선님의 고등학교 시절 사진이라는데 하재승님께 무슨 힘든 일이 있으셨던 거죠?

신림동 캐리: 하비코딩에서 제가 ‘뭐 만들고 계세요?’하고 물었더니 ‘아무도 쓰지 않을 쓰레기를 만들고 있습니다.’라고 겸손하게 말씀하셨는데… 뭘 만들고 계셨던 건지?
하재승: 실제로 아무도 쓰지 않을 것 같은 쓰레기를 열심히 짜고 있었다.

하재승님이 만들어놨지만 아무도 쓰지 않는 것
1. http://sloud.herokuapp.com/edit – 웹에서 실시간으로 작성되는 프리젠테이션 편집기 (수식지원, 마크다운)
2. 페블 시계용 지하철 도착 표시기 – 미완성
3. http://github.com/ipkn/dumpable – C++용 시리얼라이즈 코드 없이 시리얼라이즈 하는 라이브러리

하재승님이 지금 만드는 중이지만 앞으로 아무도 쓰지 않을 것
Crow – C++ microframework for web(https://github.com/ipkn/crow)
Python Flask는 간단한 웹서버를 적은 코드로 만들수 있게 해주는 툴인데 그와 유사한 코드로 C++에서 서버를 작성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다. Python Flask와 C++을 아는 사람이면 다음 코드를 보면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github.com/ipkn/crow/blob/master/example.cpp
당연히 C++이니까 성능이 매우 빠르다. C++에는 쓸만한 json 라이브러리나 ORM 도 없어서 직접 구현하는 중이다.

신림동 캐리: 겸손하게 쓰레기를 만드는 중이라 말씀하시지만, 업무 시간 외에도 커리어 스텟을 열심히 찍으시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답다. 그럼 일하지 않을 때는 뭐하면서 시간을 보내나?
하재승: 게임 방송을 보거나 개인 프로그래밍을 한다. 요새 게임 방송으로 버리는 시간이 너무 큰 거 같아 줄이는 중이다.
신림동 캐리: 게임 방송이라면 아프리카인가? 막 별풍선 같은 걸 끼얹나?
하재승: 아니 그런 거 아니고 ‘twitch.tv’라고 미국 방송이다. LoL 중계를 볼랬는데 맥북에서 한국 방송을 보려니 다 ActiveX를 깔라는 거다. 그래서 그냥 미국 방송 본다. 왠지 게임 방송을 보면서 영어 공부가 될 거 같다는 기대가 있다.
신림동 캐리: 거짓말하지 마라. 내가 미드를 얼마나 보는데 내 영어 실력은….
하재승: 아무튼 뭔가 꽂힌 프로젝트가 있는 상태에서는(지금은 Crow) 거기에 정신이 팔려서 안 먹고 안 자고 할 때가 많다. 요즘은 업무 시간 외에 사람들과 같이 머신러닝 스터디에 참가하고 있고, 위의 하비코딩에도 주기적으로 나간다.
신림동 캐리: 눈 뜨나 눈 감으나 개발 생각뿐이군.
하재승: 개발에 대해 가르치거나 알려주는 것에 관심이 있어서 예전에는 ‘멋쟁이 사자처럼’ 활동도 하고 페이스북에 강좌용 그룹을 개설한 적도 있었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자랑할 만큼 쌓은 게 없으니 패스한다. 아, 그리고 곧 NDC(Nexon Developers Conference) 발표가 있어서 요즘은 주로 거기에 주말을 할애한다.

신림동 캐리: 회사에서 일을 주는 속도보다 하재승님이 일을 해치우는 속도가 빨라서 상사가 좋아하면서도 싫어한다는 전설적인 이야기를 들었는데… 대체 비결이 뭔가?
하재승: 사실 프로라면 일은 스스로 찾아서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네오플에 갓 입사했을 때 회사에서 정해준 업무량을 받아 프로젝트에 적응하는 기간을 가졌는데, 그때 팀장님이 한 달 예상한 걸 일주일 만에 해내는 일이 간혹 있었다.
신림동 캐리: 존나 천재네….
하재승: 내가 생각하는 내 장점은 단기 기억력이 좋은 편이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한 경험치가 쌓여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양의 코드를 볼 때도 남이 짜둔 프로그램의 흐름이나 의도 등을 비교적 빠르게 따라갈 수 있어서 기존의 작업물을 직감적으로 파악하고 ‘이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새로 작성하거나 다른 기능을 추가하기’를 좀 더 쉽게 하는 것 같다. 예전에 남의 코드를 디버깅하는데 같이 코드 보면서 코드 추적하고 있으니 상대방이 자기가 짠 코드도 아닌데 어떻게 그걸 다 기억하고 있냐고 신기해한 적이 있다.
신림동 캐리: 존나 천재네….

신림동 캐리: 뜬금 없지만, 손이 빠르면… 스타크래프트도 잘하나?
하재승: 손이 빠른 편은 아니다.
신림동 캐리: 그냥 머리가 빠르단 소린가?
하재승: 글쎄, 머리가 빠른…가? 잔머리는 잘 굴리는 것 같다. 뭔가 막혔을 때 해결책을 빨리 찾아내는 편이지. 근데 아무튼 스타는 택도 없다. 컴퓨터한테도 발린다. LoL도 생각만큼 손이 안 움직여서 관전만 하고 있다.


이 사진으로만 보면 손이 빠른 것 같은 하재승님이신데요.

페블 펌웨어 한글화 등 더 많은 천재 에피소드는 ‘던파를 세 배 빠르게 만든 남자, 하재승 1’로 이어집니다.

개발의 완성은 얼굴, 최치선으로 알려진 정주영 1

이 인터뷰는 개발의 완성은 얼굴, 최치선으로 알려진 정주영 0에서 이어집니다.

신림동 캐리: 최근 학사 병특이 없어져 많은 공대생이 절규하고 있다. 병특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정주영: 병특으로 의무를 마친 입장으로서 병특제도에 대해 긍정적이다. 사실 이런 대체복무제도가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군대에 감으로써 개인이 잃는 게 너무 많기 때문이다. 특히 IT는 트렌드 및 기술이 매우 빠르게 변하는데 정보의 습득이 제한적인 곳에서 2년 정도를 보내면 뒤처질 수밖에 없다. 물론 형평성의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는데, 좀 더 다양한 대체 복무제도를 도입하거나 군대의 복지 및 대우가 좀 더 개선되어 선택의 문제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항상 좋은 취지의 제도가 나오면 악용하는 사례들이 나오는데 그 문제로 인해 이런 좋은 제도들이 사라지지 않았으면 한다.
신림동 캐리: 주변의 반응은 어떤가?
정주영: 최근 병특을 준비 중이던 많은 사람을 물 먹이는 국가 발표가 있었는데, 국가로서나 개인으로서나 이 문제는 참 어려운 것 같다. 여론을 봐도 병특의 대상자가 아닌 사람은 병특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고, 지속적으로 이슈화한다 해도 딱히 좋은 방향으로 결론이 날 것 같지 않아서 걱정이다. 아는 후배도 거의 멘붕상태인데, 병무청에서 내년에는 대학생 TO도 내줬으면 한다.

신림동 캐리: J2M과 게임빌에서 일하셨던 건 어땠나?
정주영: J2M은 친구 소개로 졸업학점 인턴을 하러 갔다가 계속 남아 일하게 되었다. 당시에 J2M이 ‘레이시티’를 개발하고 있었는데 인턴 때는 간단한 툴을 만들다가 실제 게임 쪽에 흥미를 많이 갖게 되어 아예 개발까지 시작했다. 주로 UI 레이아웃 시스템과 3D 강물 렌더링 쪽을 담당했고 클라이언트 작업을 했었다. 그러다 군대에 가야 할 시기가 됐는데 대학원에 갈 것인가 병특할 것인가 고민하다가 서울대 대학원 원서를 넣었고, 대학원에 붙으면 대학원으로 진학할 예정이었다.
신림동 캐리: 대학원에 떨어지진 않았을 것 같은데?
정주영: 그게 말하자니 굉장히 한심한데….
신림동 캐리: 한심한 인생 이야기를 하자면 나는 여기서 밤새 떠들 수 있다.
정주영: 그 날은 참 이상한 날이었지…. 평소처럼 출근해서 일하고 있는데 서울대 다니는 아는 동생으로부터 ‘오빠, 면접인데 왜 안 와요!’라는 전화가 오는 거다. 깜짝 놀라 무슨 일인가 보니 입시관리처 홈페이지에는 날짜가 공지되지 않았는데 학과 홈페이지에 그날이라고 쓰여있더라.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부랴부랴 택시를 타고 관악산까지 날아갔는데 이미 지필고사는 끝났고….
신림동 캐리: 관악산이 참 오지라….
정주영: 교수 면접이 남아있었는데 일단 양복이 아닌 출근 복장이어서….
신림동 캐리: 체크 남방이라도 입고 계셨나?
정주영: 체크 남방이었으면 차라리 나았을 텐데 후드 원피스에 청바지를 입은 상태였다.
신림동 캐리: 후드는 체크 남방과 함께 공대생의 친구죠. 아무튼 그래서?
정주영: 대기실에 있으니 ‘쟨 뭐야?’하는 시선이 장난 아니었다. 면접에 들어가니 교수님께서는 왜 지필을 안봤냐고 물으셨고 사실대로 말씀드렸다.
신림동 캐리: 영화에서라면 뭔가 엄청난 임팩트를 보이고 정원 외 합격이라는 이례적인 반전이 일어날 텐데….
정주영: 여기는 리얼 월드라 ‘안타깝군요.’라는 애잔한 위로와 함께 당연히 떨어졌다. 그래서 나는 병특하러 게임빌로 이직하게 됐다.
신림동 캐리: 왜 게임빌인가?
정주영: 당시 J2M은 병특이 안 되는 상황이었고 그래서 병특할 곳을 알아보다 게임빌 면접관이셨던 조성문님의 인상과 마인드가 좋아 입사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때는 몰랐다. 이렇게 나의 암흑기가 시작된다는 것을….


신림동 캐리: 마음에 들어서 들어갔다며….
정주영: 게임빌에서는 서버팀이었다. 사실 당시의 모바일회사에서 서버 쪽은 딱히 비중이 크지 않았다. 근데 게임빌에 들어가 프로야구 시리즈, 삼국쟁패 시리즈, 각종 아이템샵, 통신사 빌링 시스템 등 서버를 만들게 됐다. 그리고 아는 사람은 아는 비운의 프로젝트였던 실시간 항해 대전게임 ‘라피스라즐리’의 서버를 개발했는데….
신림동 캐리: 갑자기 이 인터뷰 왜 이렇게 어두워지죠….
정주영: 일단 라피스라즐리의 최초 개발자가 개발 도중에 회사를 그만둬서 내가 맡게 되었다. 그때는 내가 어려서 몰랐다. 다른 개발자가 도중에 그만둔 업무를 이어서 한다는 게 무슨 뜻인지….
신림동 캐리: 아아, 당했어요.
정주영: 게임 한판도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는 서버를 다 고쳐 안정적으로 런칭까지 시켰다. 여기서 게임이 흥하는 건 별개의 문제였다.
신림동 캐리: 흥했나?
정주영: 피처폰 시대에 네트워크 실시간 대전게임이 흥할 리가….

정주영: 심지어 퇴사 당일에 IDC이전 작업을 했는데 새벽까지 IDC에서 서버세팅을 하던 추억이 떠오른다.
신림동 캐리: 다른 이야긴데 요즘 게임빌이 참 잘 나가잖나. 어떤 생각이 드시는지?
정주영: 아무 생각이 없다.

신림동 캐리: 이 소프트웨어와 도구 없이는 살 수 없다 하는 건?
정주영: 소프트웨어는 vim, visual studio (with viemu, dpack), git, man 정도고 서비스는 google, stackoverflow, irctalk, 장비는 Happy Hacking Keyboard Pro 2, 넓은 모니터
그리고 인터넷이 되는 스마트폰!
신림동 캐리: irctalk라니 뭔가 이상한 게 들어있는 것 같지만 넘어가자….

신림동 캐리: 그냥 궁금해서 묻는 건데 본인 스마트폰에 NHN 라인을 까셨는지?
정주영: 카카오 입사하기 전부터 내 스마트폰에 깔려 있었다. 라인이 일본에서 출시되어 한국 앱스토어에 풀리기 전부터 사용했다. 처음 라인을 쓰고는 피처폰을 많이 이용하는 일본인이 편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든, 확실히 일본을 잘 이해하고 있는 메신저라고 감탄했다. 근데 요즘은 안 쓰게 되더라.
신림동 캐리: 카카오에 다녀서?
정주영: 최근에 해외에서 광고성 자동응답 유저나 게임 초대 메세지가 많이 날아오기 때문이다.
신림동 캐리: 그렇다고 해두자….

신림동 캐리: 내 지인이 카카오톡 맥 버전을 만들다 계정 삭제… 당해서 술 마실 때마다 울고 있다.
정주영: 사실 그 이슈에 대해 사내에서 가장 먼저 문제를 제기한 게 나다….
신림동 캐리: !
정주영: 그 카카오톡 맥 버전의 가장 큰 문제가 뭐였느냐면, 중계 서버를 사용해 대화내용이 해당 서버를 거치기 때문에 개발자가 마음만 먹으면 불특정 다수의 대화내용 및 카카오 계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게 첫 번째 이유였고, 두 번째로는 내버려둘 경우 카카오 계정 ID 및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유사 피싱사이트가 나올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런 내용을 개발자에게 전달했지만, javascript단에서 꼼수로만 로그인을 막아두고 로그인 폼은 그대로 노출하더라, 그래서 다시 한 번 전달했는데 css꼼수로 로그인 폼을 숨기고 개발자 도구를 이용하면 여전히 사용할 수 있는 상태였다.
신림동 캐리: 아아 우리 W쨩….
정주영: 그리고 추가로 다른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를 통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감지되어 운영 정책에 따라 정상적인 클라이언트로 로그인하지 않을 경우 이용제재조치가 취해졌다. 딱히 악감정이 있거나 타겟을 노리고 한 건 아니니 너무 기분 상하지 않았으면 한다. 어차피 한 다리 건너면 다들 아는 사이 아닌가….

그렇습니다. 힙합 비둘기 데프콘 횽이 “땅덩어리 넓은 미국은 디스하고 안 마주치면 그만이에요. 그런데 한국은 여기저기서 다 만나게 돼요.”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모두 피스!

신림동 캐리: 개발자 사이에서 미모로 사랑받고 계신데….

신림동 캐리: 그게 개발할 때 메리트로 작용하나? 예를 들면 미인계를 썼을 때 상대방이 업무를 더 빨리 처리해준다든가….
정주영: …그 부분은 잘 모르겠다. 사실 외모란 게 그냥 호감이나 비호감이냐 정도로 작용하는 것 이외에는 없었던 거 같다.
신림동 캐리: 와이프분이 남편으로 덕질을 하시더라고….

가운데에 자기 사진을 넣으면 단두대로 보인다는 이 짤방에서도 살아남은 최치선님이십니다.

참고로 이 사진은 와이프분께서 제작하셨습니다.

정주영: 사랑받고 있다♡
신림동 캐리: 부인이 게임 디자이너이신데 나중에 같이 프로젝트할 계획이 있으신지?
정주영: 와이프는 예전부터 계속 같이 하자고 말하는데 내가 다른 프로젝트를 많이 하다 보니 정신이 없어서 아직 못하고 있다. 사실 이거다 싶은 게 떠오르지 않는 이유도 있다. 서로 미묘하게 취향이 다르다 보니…는 변명이고 사실은 내가 게을러서 그렇지 뭐. 하지만 같이 프로젝트할 계획은 언제나 갖고 있다.

신림동 캐리: 와이프분께서 취미로 가끔 서코에 부스를 내시는데 굿즈 이동부터 잔돈 거슬러주기까지 함께하는 자상한 남편이시라고 들었다.
정주영: 내게 자동차가 생기면서부터 와이프의 굿즈도 변해서… 처음에는 회지나 머그컵, 달력 등을 만들더니 요즘은 쿠션이라든가 대형 포스터라든가 뭔가 크기가 달라졌다?
신림동 캐리: 코믹 가서는 단순 노동만 하셨나?
정주영: 나도 원래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좋아했던지라 와이프와 사귀면서 자연스레 서코 활동을 함께하게 되었다. 코믹은 게시판을 통해 선입금 예약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구시대의 유물인 제로보드를 쓰는 걸 보고 좀 놀랐다. 입금자가 게시판에 쓴 글을 하나씩 열면서 엑셀에 복사하고 붙여넣고 반복하고 있길래 이게 무슨 노가다질이야 싶더라. 그래서 제로보드 DB에 직접 접근해 게시판 게시물을 덤프 뜨고 그걸로 파싱하는 툴을 짜서 엑셀로 임포트했다. 근데 현장에서 보니 일일이 그 리스트로 사람 체크하는 게 귀찮을 것 같더라. 때마침 회사에서 하던 일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봇 시스템을 만들던 중이라 테스트도 할 겸 선입금 예약자 확인봇을 만들었다.
신림동 캐리: 최고시다.
정주영: 그땐 이렇게 하면 편할 줄 알았지…. 실제로 코믹을 가보니 3G나 LTE 안 터지는 건 기본이요, 만든 지 얼마 안 되어서 그런지 시스템 장애가 겹쳐 진땀을 뺐다. 현장에서 와이브로 물려서 코딩하게 될 줄이야! 그래서 그 이후에는 선입금 및 통판 예약용 사이트를 그냥 처음부터 다 만들었다.


정주영: 이건 나름 잘 동작했고 도움이 많이 됐던 것 같다. 난 그림을 못 그리기 때문에 기술로나마 도움이 되려고 하고 있다.
신림동 캐리: 내가 보기엔 와이프의 취미생활까지 돕는 최고의 남편이시다.

신림동 캐리: 최근에 공부하고 있는 것은?
정주영: 최근엔 카카오톡 PC버전의 성능 개선을 위해 Direct2D를 공부 중이다. XP out!
신림동 캐리: 오오, XP out!
정주영: 사실 평소에 공부란 걸 따로 하지는 않는다. 그냥 그때 그때 만들고 싶은 걸 찾고 거기에 필요한 것을 습득하는 식으로 한다. irctalk을 만들 때도 ‘go 언어를 써볼까?’라는 생각으로 go를 공부했었다. 지금은 성역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신림동 캐리: 안 그래도 요즘 최치선님을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것보다 디아블로 3에서 만나는 게 더 쉽다 들었다….

신림동 캐리: 최근에 읽은 개발에 대한 인상적인 책은?
정주영: 가장 최근에 본 건 단연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이지!

로켓펀치 개발자 인터뷰에서 사랑받는 구종만님이십니다.

신림동 캐리: 개발하는 후배에게 추천해주는 사이트는?
정주영: http://algospot.com!

로켓펀치 개발자 인터뷰에서 사랑받는 구종만님이십니다.

정주영: 여러 개발 사이트를 드나들기보단 꾸준히 개발에 손을 안 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신림동 캐리: 그럼 본인을 어떤 개발자라고 생각하시는지? 어울리는 수식어를 붙이면?
정주영: 어려운 질문이다.
신림동 캐리: 모두 이 질문을 제일 어려워하신다.
정주영: 내가 딱히 어떤 개발자라고 규정을 내린 적은 없다. 간혹 회사에서 천재 개발자라고 말해주는데 내 주변에 진짜 천재가 많아서인지 그런 말을 들으면 엄청나게 부끄럽다. 굳이 붙인다면 게으른 개발자 정도일까?
신림동 캐리: 하지만 내 디아블로에겐 성실한 남자….

신림동 캐리: 개발자에게 재능이 얼마나 차지한다고 생각하는가?
정주영: 사람마다 생각하는 게 다르겠지만 내 경험으로는 꽤 크지 않나 싶다. 재능의 기준이 미묘하지만 사고방식 및 구조, 문제를 대하는 자세, 그리고 근성, 이것 자체가 모두 모여 재능이라고 본다면 매우 영향이 크겠지. 재능이 있어도 꾸준히 갈고 닦아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건 항상 개발과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요즘은 대형 프로젝트 중심으로 돌아가던 예전과 다르게 작은 앱부터 시작해 간단한 웹서비스까지 많은 인력과 인프라 없이 개발이 가능하다. 능력과 자신 의지만 있다면 평생 개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나도 앞으로 계속해서 개발하고 싶고, 나이 들어서도 와이프와 같이 게임을 만들 계획이다.

바탕화면과 프로필 사진은 항상 와이프가 그려준 그림을 사용한다.

키보드는 HHKP2가 없으면 멘붕한다. 덕분에 다른 사람들이 자리로 오면 키보드를 사용하지 못한다.
모니터는 언제나 크고 넓고 많아야 좋다. 사실 책상을 잘 정리하는 편이 아니라서 깔끔하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