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대로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한 5가지 원칙 – 로켓펀치 팀의 1년간 UX 개편을 돌아보며

[ 왜 UX 개편을 할까요? ]

UX(User eXperience)란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입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서비스 구조를 면밀하게 설계합니다. UX에 개선 요소가 있거나, 기존의 서비스에서 확장된 더 큰 가치를 전달하려는 과정에서 UX 개편을 하게 됩니다.

[ 로켓펀치는 왜 UX 개편을 시작하였나? ]

<로켓펀치>는 스타트업을 위한 채용 서비스로 시작하여 기업, 채용 등 비즈니스 관련 10억 건의 데이터를 축적하며 연간 200만 명 이상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 프로필에 더 많은 Read More >>

‘머신러닝?’ 잘 알려줄 것 같은 현직 개발자들

머신러닝을 활용하기 위해서 궁금한 것들이 있을 때, 이분들께 물어보는 건 어떨까요?

머신러닝 잘 알려줄 것 같은 현직 개발자들

 

전무익 당근마켓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서비스 개발하는 재미로 살아가는 자연인ㅎ”

전) 카카오, 띵크리얼스

연락하기 >> https://www.rocketpunch.com/@muik

 

오영민 네오펙트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사람과 기계의 지능학습을 연구하는 뇌과학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인공지능 연구자입니다”

연락하기 >> https://www.rocketpunch.com/@youngminoh7

 

소성운 Read More >>

AWS 람다(Lambda)로 실시간 추천하기 – 로켓펀치의 전문기술 정보

로켓펀치의 전문기술 정보

로켓펀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비즈니스 정보들이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보면 상단 네비게이션 바의 네트워크, 기업, 채용, 투자, 비즈니스 맵 등이 상위 항목 정보로서 여러 가지 또다른 세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사람과 기업, 채용정보는 전문기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이용자가 각 항목에서 알고 싶은 내용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사람이나 기업에 대해서 ‘이 분은 어떤 걸 잘 하는 걸까?’, ‘여기서 사용하는 기술들은 뭐지?’와 같은 궁금증을 가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구인을 하는 기업 입장에서 어떤 기술을 가진 사람을 원하는지 나타내는 것도, 구직을 하는 입장에서 기업이 어떤 스킬을 가진 인재를 원하는지 알아야 하는 것도 당연합니다.… Read More >>

300원에 200만뷰 소화하기 – 서버리스 아키텍처 AWS 람다(Lambda) 활용 사례

 

로켓펀치에서는 기본적인 웹 서비스 외에 제휴를 통해 로켓펀치의 채용 공고를 위젯 형식으로 노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 : 플래텀 오른쪽 사이드바 위젯) 이런 위젯들을 운영하다 보니 몇 가지 추가적인 요구 사항이 생겼는데요. 주로 아래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제휴를 맺은 곳의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가 로켓펀치 웹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 로켓펀치에서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제휴를 맺은 곳에서 가능하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것

이 두 가지를 만족하기 위해 최초에 기존의 서버와 분리하여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는 방안을 생각했습니다. 다만 이 서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여러 가지 비용의 문제로 쉽사리 진행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로켓펀치에서는 AWS Lambda를 … Read More >>

J커브 성장을 위한 나침반, ‘서비스 통계 대시보드’ 개발기

‘수억 명의 사용자’ 같은 거대한 목표는 ‘감’으로는 결코 달성할 수 없다

각자가 만들고 있는 제품의 특성에 맞는 올바른 지표(Metric)를 선택하고, 그 지표를 꾸준히 개선해 나가는 것은 J 커브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다. 문제를 모르면 개선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고유한 지표를 확인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면 실제 업무에 있어서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클릭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만드는 것이 좋다.

이 활동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로켓펀치는 많은 노력을 들여 로켓펀치만의 지표를 구성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구성했다. 이 글에서는 그 과정에서 얻었던 지식들을 나누고자 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