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여름방학을 얼마 남겨 두지 않았을 때, 학과 선배로부터 스타트업의 인턴 포지션에 지원해보지 않겠냐는 연락이 왔다. 평소 스타트업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곧바로 지원서를 냈고, 면접을 봤다. 6개월 동안의 로켓펀치와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로켓펀치는 사무실이 없다. 오전 11시마다 스카이프를 통해 화상회의가 진행됐고, 중요한 전달사항이 있을 때만 상사이자 멘토였던 이상범 이사님을 오프라인으로 만났다. 처음엔 원격근무라는 것이 어색했지만 점차 원격근무의 장점을 하나씩 알아가게 되었다.
로켓펀치는 정말로 자유롭게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회사였다. 대표부터 인턴에 이르기까지 서로 이름 끝에 ‘님’자를 붙였고, 존댓말을 쓰고 있었다.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때면 온라인 회의를 통해 작업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끝까지 설명해 주셨다. 내 생각을 이야기할 기회도 많았다. 처음에는 의견을 말하는게 익숙하지 않았지만, 점차 생각을 공유하고 모르면 즉시 물어 보는 것에 익숙해 지기 시작했다.
로켓펀치는 다양한 IT기술과 소프트웨어 도구들을 활용해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때문에 업무를 진행하기 앞서 익숙해 져야하는 도구들이 있었고, 인턴 초기에는 Slack과 Trello와 같은 도구에 익숙해 지는 시간을 가졌다.
그 후 처음으로 맡은 일은 로켓펀치 사이트의 투자소식 및 기업 페이지를 관리하는 일이었다. 그날 그날의 투자소식을 확인하여 사용자들이 업로드하지 않은 내용들을 홈페이지에 보완하고, 중복 등록된 기업 등을 정리하는 작업이었다. 매월 12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방문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웹서비스에 직접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은 매우 떨리고 설레는 일이었다.
사이트 관리 업무에 익숙해질 즈음 첫 프로젝트를 전달 받았다. 스타트업 관련 투자데이터를 수집하는 일이었다. 처음에는 쉽게 모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관련 정부기관에 요청만 하면 데이터를 쉽게 받을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수차례 메일을 보내고 연락을 하였지만 중소기업청을 비롯한 정부기관들로부터 돌아온 대답은 ‘법률상 데이터제공이 불가능하다.’는 답변뿐이었다. 갑자기 앞이 캄캄해졌다. 인턴을 시작한지 한달 가까이 지났지만 정작 하나의 프로젝트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재택근무의 특성상 과정보다는 결과가 보여질 수밖에 없었다. 가만히 앉아 있을 수만은 없었기에 구글링도 해보고 관련서적들을 찾아보기도 했다. 이것 저것 찾다보니 웹 상의 정보를 모으는 기술인 크롤링에 대해서 알아보기도 했다. 하지만 작업에 크게 진전은 없었다. 간신히 50개 가량의 데이터를 모았을 때쯤 문득 네이버 뉴스가 떠올랐다. 상세검색을 활용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니 총 18,000개의 투자관련 뉴스가 있었다. 과장을 조금 보태서 온 몸에 소름이 돋았다. 그 때부터 뉴스들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유효한 투자정보들을 엑셀에 정리하기 시작했다. 1주일이 지난 뒤 총 500개 정도의 투자데이터를 모을 수 있었다. 해당 투자데이터들은 로켓펀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가능한 형태로 수정작업을 거친 뒤 개발팀에서 작성한 스크립트를 활용해 로켓펀치 사이트에 업로드 되었다. 정중한 이메일이나 웹 크롤링과 같은 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한 것은 아니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했고 어찌 보면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이었지만 결국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무식하게 보일 수 있는 방법이 때로는 효율만 추구하는 방법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깨달은 순간이었다.
투자데이터 수집 작업을 끝마치고 나니 9월 개강시즌이 다가왔다. 아직 학부 과정 중이었고, 취업준비를 병행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방학때 만큼은 로켓펀치 업무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감사하게도 업무시간을 줄여 학기 중에도 인턴일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좀 더 많은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었고, 로켓펀치로부터 배우고 싶은 것도 많았기에 일을 계속 하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4개월이 흘러 어느덧 1월이 되었다.
총 6개월의 인턴 기간 동안 직군, 전공 태그 데이터 정리부터 잠재고객 통계분석에 이르기까지 10개 이상의 크고 작은 작업을 수행했다. 100개가 넘는 대학교 취업지원실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보기도 했고, 정부 사이트에서 접속횟수 초과로 IP가 차단당하기도 했다. 요청한 것에 거절 당하며 위축되기도 했고, 로켓펀치를 알아보시는 분들 앞에서 괜히 어깨가 으쓱했던 적도 있었다. 인턴으로서 직접 프로젝트성 업무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 운영에 참여하였고, 비즈니스팀과 개발팀이 회의를 거쳐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능을 추가해 가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인턴 업무가 끝난 뒤 마지막으로 로켓펀치의 조민희 대표님, 이상범 이사님과 함께 식사를 했다. 식사 자리에서 요즘 스타트업 동향, 나의 앞으로의 계획 등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인턴이라는 기회로 만나게 된 분들이지만 형처럼 편하게 대해 주시고 좋은 말씀을 많이 해주셨다. 식사 후 마지막으로 두 분께 인사를 드렸는데, 조민희 대표님이 ‘요즘에는 영원한 안녕은 없는것 같고, 안녕이 안녕이 아닌 것 같다. 또 보자.’는 말을 남기고 골목 안으로 사라지셨다. 가슴 한 켠이 왠지 모르게 뜨거워지는 것을 느꼈다.
로켓펀치에서의 인턴경험은 스타트업은 막연하게 위험하다고 생각하다는 생각과 스타트업에 도전하는 것은 어렵다는 두려움을 없애 주었고,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심어 주었다. 열정 가득한 사람들이 모인 스타트업의 모습을 잠시나마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이제 이 소중한 경험을 가슴속 깊이 새기고 새로운 길을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 언젠가는 치열했던 스타트업의 세계로 돌아오겠다는 꿈을 간직한 채.
로켓펀치, 독특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