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 건축의 진화와 ‘콘테크(Contech)’

3D프린터 건축

[3D프린터 트렌드] 콘테크(Contech)로 각광

 

3D프린팅 기술이 발달하면서 한동안 시제품 제작이나 실험실 등에 국한됐던 3D프린터 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건설업도 그 중 하나입니다. <집을 하루 만에 ‘프린팅’한다고? 참고> 건설(Construc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콘테크(Contech)’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존 건설업의 비효율을 개선할 혁신 기술로 3D프린팅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엔 미국에서 처음으로 3D프린터를 이용한 2층 주택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되는가 하면 이슬람 국가인 두바이에선 전통 이슬람 사원을 3D프린터로 Read More >>

[제조 지식] 없애고, 붙이고···3D 프린팅 후가공의 모든 것

물리적, 화학적 공정 거쳐 출력물 상태 개선

외관은 물론, 강도와 내구성 향상에도 효과

“(후가공이)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후가공을 마치기 직전 상태의 제품을 받아본 적이 있다면 아마 공감하실 겁니다. 3D 프린팅으로 제품을 만든 경우에도도 마찬가집니다. 3D 프린팅 후가공(3D Printing Post-Processing)은 출력물의 기능과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의 특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작업을 총칭합니다. 이러한 후가공 처리 기술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재료 제거 (Material Removal) 
② 재료 추가 (Material Addition)
③ 물성 변경 (Material Property

Read More >>

[CAPA 스토리] 넷플릭스가 들려주는 3D프린터 뒷얘기

지난해 <오징어 게임> <지옥> 같은 국산 드라마가 넷플릭스를 통해 방영되면서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인기몰이를 했습니다. 덕분에 제작사인 넷플릭스는 드라마 맛집으로 명성을 날렸습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넷플릭스가 만든 오리지널 드라마를 시청하기 위해 넷플릭스에 가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넷플릭스에 열광하는 것은 비단 드라마때문만이 아닙니다. 마이클 조던의 선수 생활 일대기를 다룬 <라스트 댄스>, 아카데미 다큐멘터리 부문 수상작인 <나의 문어선생님> 등 빼어난 다큐멘터리 때문에 넷플릭스를 구독한다는 시청자도 적지 않습니다. 실제로 넷플릭스가 보유한 다큐멘터리 리스트를 살펴보면 ‘이런

Read More >>

[AskMe] 미래를 프린트하다! 3D 프린팅 A to Z

3D 프린터에 대한 열기가 뜨겁습니다. 일반 프린터를 사용해서 문서를 출력하는 것처럼 3차원 형태를 가진 물건도 출력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은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꼽히고 있는데요, 기술이 고도화 되며 제조, 의학, 항공, 교육, 국방 등 산업 전반에 경계를 두지 않고 응용되고 있습니다.

점차 일반 기업과 소비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중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어렵게만 느껴지는 3D 프린터. 3D 프린팅을 직접 경험한 프로들은 어땠을까요?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조다혜
제조 컨설턴트 @에이팀벤처스

유상엽
마케팅 디자이너 @에이팀벤처스

함성식
하드웨어 개발 @베이글랩스

안세화
PM @닷밀

윤대현
헤드쉐프 @도우룸바이스와니예

백민건
팀장 @프론텍

 

1. 3D 프린팅, 시작해볼까요?

Read More >>

나만의 제품을 쉽고 간편하게!!! 신승식 대표

 

앞으로의 제조환경은 대기업이나 큰 공장에서

대량으로 물품을 생산해 공급하던 것에서 벗어나

개개인의 특성, 취향, 선호도에 맞게 맞춤형 제조를 통한

나만의 제품을 생산하는 시대로 변화하게 된다죠.

 

개인 맞춤형 제조 시대를 준비하여

나만의 제품을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스타트업.

<블루프린트랩> 신승식 대표님을 만났습니다.

이름  :  신승식

소속  :  주식회사 블루프린트랩

직책  :  대표

하는 : 경영관리  

좌우명 :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취미 : 보드타기

특기 : 대화  

자주 가는 사이트 : https://hbr.org/ Harvard business review

최근 관심 두는 분야 : AI

최근 읽은 : 채근담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