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배터리’
하지만 수출입 물류 시장에서는 ‘위험물’로 이름표를 바꾸어 버리며
그에 맞는 까다로운 규제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출입 물품과는 다르게 준비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준비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할 뿐 아니라 절차와 규정도 까다로워
전자 기기 수출입을 진행하려는 담당자들에게 어려움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배터리가 포함된 전자기기를 수출입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1.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꼭 작성하세요!
MSDS는 화학물질에 대해 안전한 사용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서류로 안전 Date Sheet라고도 불린답니다.
이 서류에는 총 16가지 정보가 기재되어야 하는데, 이 중 운송에 필요한 정보를 적게 되어있죠.
따라서 제품이 배터리를 포함하여 위험물에 해당한다면, 이 서류에 체크를 하면 되며, 항공사 및 선사에서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선적 가능 여부를 확인하게 된답니다.
정보에 따라 수출입 운송 시 준비사항이 달라지니
꼭 업무 진행 시 꼭 확인하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 배터리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규정을 숙지하고 수출입 업무를 진행하세요!
배터리가 포함된 제품의 수출입 방법을 말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터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배터리’라 부르는 ‘리튬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리튬 메탈 배터리’ 로 나눌 수 있는데요, ‘리튬 이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노트북에 사용되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말하며 ‘리튬 메탈 배터리’는 건전지처럼 충전이 불가능한,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말합니다.
이 ‘리튬 메탈 배터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경우가 많아 해상 / 항공 운송 시 규제를 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서 업무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3. 배터리의 내장 유무를 확인하세요!
배터리가 포함된 제품을 수출, 수입할 경우 운송 업체에서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를 하여 제품을 운송하게 됩니다.
2018년부터 배터리만 수출, 수입할 경우 SECTION 1A, IB로 구분을 하여 운반하게 되며, 배터리가 장착이 되어있는 제품을 수출, 수입할 경우, 혹은 한 포장재(박스) 안에 기계와 같이 나가는 경우에는 SECTION I로 구분하게 되죠.
이렇게 구분을 하는 이유는 각 구분별로 위험물 포장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비용과 절차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이때, SECTION IA, IB와 SECTION I는 위험물로 분류 되고 있으며, SECTION II는 운송 규정상 위험물이긴 하지만 적절한 처리를 할 경우 위험물에 대한 화주신고서 및 포장을 면제받게 된답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유무를 확인 후 이에 맞는 포장을 해서 보내야만 불필요한 절차를 줄여 더 빠르고 정확히 수출입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답니다.
베터리의 경우 다양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처럼 복잡한 규정들이 있는데요
오늘 글을 통해 많이들 어려워하셨던 부분이 해소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업무를 진행하시면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연락 부탁드립니다.
www.tradlinx.com
수출입 물류 지원 서비스 알아보기
[작성자] 정동일 수출입 전문 컨설턴트 https://www.rocketpunch.com/@demiancd9888d1
[출처] 수출입 물류 전문기업 트레드링스 https://www.rocketpunch.com/companies/tradlinx